끄적이는 개발노트
Github 사용법(3) - 기본 Git 사용법 본문
728x90
이전 포스트에서 SSH Key를 생성하고 GitHub에 등록하는 과정을 알아보았다.
이제 직접 사용하기 위해 기본적인 명령어들을 알아보도록 한다.
SSH Key를 등록하였으므로 연결한 Git을 사용할 때는 아래 이미지처럼 SSH를 이용한다.
1. Git 복제 명령어
Git 저장소를 복제해오는 명령어다.
$> git clone <Git Repository>
2. Git 연결 명령어
git init
연결하고자 하는 directory에서 git init을 실행한다.
$> git init
git remote 추가
$> git remote add <Branch> <Repository>
// ex. git remote add origin git@github.com:test/test.git
git remote 확인
$> git remote -v
git remote 삭제
$> git remote rm <Branch>
3. Git 등록 및 가져오기 명령어
git 추가
뒤에 .을 찍으면 변경사항을 전부 추가한다는 뜻이다.
$> git add .
git 등록하기
git에 파일 및 폴더들을 등록한다.
$> git push
git 가져오기
git에 push된 내용들을 가져온다.
$> git pull
git 커밋
파일 및 폴더의 추가/변경 사항을 기록한다.
$> git commit -ma
git 상태확인
$> git status
# 일반적인 Git 등록 플로우
$> git add .
$> git commit -ma
$> git push or pull
가장 많이 사용되는 Git 사용 명령어를 알아보았다.
이제 본인이 만든 서버의 폴더 및 파일, 코드들을 개인 GitHub에 저장할 수도 있고, 다른 사람과의 협업을 위해 GitHub을 활용하여 코드들을 관리할 수 있다.
본인도 GitHub을 통해 개발팀과 함께 코드를 공유하며 개발하는데 굉장히 유용하다.
개발자라면 지금까지 정리한 기본 내용들로도 충분하니 꼭 사용해보기 바란다.
728x90
'Github'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hub 사용법(2) - SSH Key 생성 및 등록 (0) | 2021.10.21 |
---|---|
Github 사용법(1) - Git 저장소 생성 (0) | 2021.10.13 |